9일차 시간표
오전 9:00 ~ 체크인
오전 9:00 ~ 오후 1:00 알고리즘 문제 풀기(프로그래머스)
오후 1:00 ~ 오후 1:30 알고리즘 추가 발제
오후 1:30 ~ 오후 2:30 알고리즘 문제 풀기(프로그래머스)
오후 2:30 ~ 오후 3:00 점심시간
오후 3:00 ~ 오후 3:30 알고리즘 문제 발표(완주하지 못한 선수, 정수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오후 3:30 ~ 오후 4:00 개발일지 작성 + 알고리즘에서 배운 용어 정리
오후 4:00 ~ 오후 5:00 개인시간
오후 5:00 ~ 오후 6:00 저녁시간
오후 6:00 ~ 오후 7:00 알고리즘 문제 추가로 더 풀기(프로그래머스)
오후 7:00 ~ 오후 9:00 우리 함께 놀아봐요! "Mingle Wednesday 🎉"
용어 정리
1. indexOf()
: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아내는 함수
내장 함수 indexOf() 함수는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검색하여 찾거나 아니면 배열에서 원하는 특정 배열값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경우 위치값을 index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 "문자열".indexOf("찾을 문자")
2. repeat()
: 문자열을 반복한 값을 반환하는 메소드입니다.
-> "문자열".repeat(반복 횟수)
3. splice()
: 배열의 기존 요소를 삭제 또는 교체 하거나 새 요소를 추가하여 배열의 내용을 변경한다.
splice()는 원본 배열 자체를 수정한다.
-> splice(배열의 변경을 시작할 인덱스, 배열을 제거할 요소의 개수, 배열에 추가할 요소)
+ 반환값으로는 제거한 요소를 담을 배열을 쓴다.
(아무 값도 제거하지 않았으면 빈 배열을 반환한다.)
4. replace()
: 자신이 바꾸고 싶은 문자로 문자열을 치환하는 함수이다.
-> replace(기존 문자, 바꿀 문자)
+ replaceAll()
: 자신이 바꾸고 싶은 문자로 문자열을 전부 치환하는 함수이다.
-> replaceAll(정규식, 바꿀 문자)
5. toString()
: 숫자 타입을 문자 타입으로 변환 해주는 함수
6. parseInt() <-> Number()의 차이점
: 문자 타입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 해주는 함수
- parseInt()
: 문자열을 인자로 받으면 해당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준다.
+ 문자열이 숫자가 아닌 경우
문자열이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숫자가 끝날 때까지만 형변환을 하여 변수에 저장한다.
시작이 숫자가 아닌 경우 Number()와 마찬가지로 변수에 NaN(Not a Number)이 저장된다.
- Number()
: 문자 타입을 숫자 타입으로 변환 해주는 함수
+ 문자열이 숫자가 아닌 경우
변수에 NaN(Not a Number)이 저장된다.
7. sort()
: 배열을 정렬 할 때 사용한다.(오름차순)
8. reverse()
: 배열을 뒤집을 때 사용한다.
9. join()
: 배열의 원소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값으로 만든다.
-> 배열.join(원하는 문자)
10. Math.sqrt()
: 값의 제곱근을 구하는 함수
-> Math.sqrt(대상 숫자)
11. Math.pow()
: 값의 거듭제곱을 구하는 함수
-> Math.pow(대상 숫자, 거듭 제곱 할 횟수)
12. Number.isInteger()
: 숫자가 정수인 지 실수인 지 구하는 함수
또는 (대상 숫자%1 == 0 -> 정수)
노션
https://chrome-armadillo-b80.notion.site/8-cdc2eefd75154b1f837b3c34b5e79291
'항해 중 >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1일차 (0) | 2021.11.12 |
---|---|
[TIL] 10일차 (0) | 2021.11.11 |
[TIL] 8일차 (0) | 2021.11.09 |
[TIL] 7일차 (0) | 2021.11.08 |
[TIL] 6일차 (0) | 2021.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