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에는 div 여러 개 만들어서 카테고리를 구현 했었는 데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 해보고 싶어서 ul, li 태그를 사용하였다.
아래와 같이 ul, li 태그로 카테고리에 들어갈 메뉴들을 적어주고 CSS 속성만 지정하면 간단하게 구현 할 수 있었다.
거기에 사용자가 li에 마우스를 올렸을 경우(:hover) 다른 색상을 보여주도록 UI를 수정하였고
더불어 transition을 사용하여서 스무스 하게 변할 수 있도록 했다!
transition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도 좋고, 아래 코드를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생활코딩] transition
transition은 "전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CSS의 여러가지 효과(속성)들에 값이 변경 되었을 때 그 전환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폰트가 10이었다가 마우스를 올렸을 때 폰트
eundol1113.tistory.com
const Addition = styled.div`
& ul {
list-style: none;
margin: 0;
padding: 0;
}
& li {
width: 75px;
height: 64px;
margin: 12px;
padding: 10px;
border: 0;
float: left;
background-color: orange;
border-radius: 12px;
transition: all 0.6s; // 마우스를 올렸을 경우 transition 설정
}
& li:hover {
background-color: green;
transition: all 0.6s; // 마우스를 내렸을 경우 transition 설정
}
`;
li태그로 메뉴등을 가로로 배열하기 :: Outsider's Dev Story
예전에는 페이지 디자인을 할 때 table이용해서 했기 때문에 테이블안에 테이블을 삽입하는 식으로 틀을 잡으면 어떤식의 레이아웃이라도 쉽게 잡을 수 있었지만 요즘에는 table보다는 div등을 이
blog.outsider.ne.kr
728x90
'프레임워크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Next.js에서 svg 사용하는 방법 (0) | 2022.02.24 |
---|---|
[CSS] :hover 시 이미지 변경 (0) | 2022.02.24 |
[CSS] relative와 absolute의 관계성, 차이점 (0) | 2022.02.23 |
[CSS] CheckBox에 font-aswesome 사용해서 체크 표시 추가하기 (0) | 2022.02.23 |
[CSS] z-index (0) | 2022.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