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학습 일지4 [FE] 좋은 코드의 기준 Frontend Fundamentals에서 작성한 좋은 코드의 기준에 관한 글을 읽으며,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이전 과정을 점검하고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좋은 프론트엔드 코드란 변경하기 쉬운 코드"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가독성", "예측 가능성", "응집도", "결합도"를 제시하고 있는데 좋은 코드를 짜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한 번이라도 고민해 본 개발자라면, 이 글을 통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작하기 | Frontend Fundamentals frontend-fundamentals.com 2025. 1. 14. 스프린트 문서 (Sprint Docs) 회사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마감 기한이 정해지면서, 팀에서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스프린트 작성이라는 방안을 논의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스프린트 문서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에 사용 중이던 WBS와의 차이점도 비교해 보면 좋을 것 같아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스프린트(Sprint)란?: 애자일(Agile) 개발 방식, 특히 스크럼(Scrum)이라는 프레임워크에 사용하는 핵심 개념으로, 짧고 일정한 기간 동안 진행되는 개발 주기를 말한다. 짧은 주기(보통 2~4주)동안 팀은 미리 정해진 목표(주로 기능 개발 또는 작업 완료)를 달성하기 위해서 집중적으로 작업하는 방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스크럼이란더보기: 애자일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인 스크럼은 스프린트라고 하는 고정된 길이의 반.. 2025. 1. 13. Legacy(레거시) 회사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을 들으면서, 해당 프로젝트가 Legacy 시스템이라 기존 버전에서 새로운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 중이라는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때 "Legacy"가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겨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아보게 되면서 아래 블로그에 정리된 내용을 읽게 되었는 데 레거시 코드(Legacy code)레거시 코드로 시작해 테스트 코드 찬양으로velog.io 레거시 코드(Legacy Code)에 대해 다룬 글을 살펴보면, 레거시 코드는 아래 4가지 경우 중 하나라도 포함되는 경우 레거시 코드로 분류될 수 있다고 합니다.다른 사람으로부터 상속된 소스 코드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에서 상속된 소스 코드개발자가 변경하기를 두려워하는 코드테스트 없는 코드 .. 2025. 1. 10. 웹 서버 정의웹 서버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쉽게 말해서, 인터넷에서 우리가 웹사이트를 열면 그 웹사이트의 내용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역할요청 처리 :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보여줘!"라는 요청을 서버로 보내는 것입니다.응답 전송 : 서버는 그 요청을 받고, 요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아 사용자에게 응답합니다. 웹 서버는 주로 HTML, CSS, JS, 이미지, 비디오와 같은 정적 파일(서버에서 수정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파일)을 사용자에게 보냅니다.데이터베이스와 연결 : 동적인 웹 페이지(로그인 정보,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 등은 서버에서 처리하고 생성된 데이.. 2024. 10. 15. 이전 1 다음 728x90